2020-06-16

프린터 모델명에 붙은 알파벳 글자들의 의미

0. 프린터 모델에는 다양한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삼성전자 SL-C563W

엡손 정품 무한 L805 등...

그런데 이 알파벳들은 무엇을 뜻하는걸까?





1. 잘 정리된 글이 있어서 조금만 번역해보았다.

모든 모델명이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르는 것은 아니므로

재미로 참고삼으면 될 것 같다.





2. 알파벳별 의미

- MFP/MFC

Multifunction device들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장치라는 의미이다.

각각 Multifunction Printer, Multifunction Centre의 앞글자를 딴 약자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기능을 가진 장치는 모델명 앞에 'P'를 붙인다.

항상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단일 기능만 가진 장치는 모델명에 아무런 글자도 붙이지 않는다.

단일 기능만 수행한다는 것은

프린팅이면 프린팅, 스캔, 팩스, 복사 등의 기능 중 한 가지만 수행한다는 뜻이다.



- C

C는 'Colour'의 줄임말이다. 즉 컬러 프린팅을 지원한다는 뜻인 것 같다.



- M/B

C와 대조되는 기능으로, 흑백을 뜻하는 'Monochrome'의 앞글자인 'M'을 따온 것이다.

OEM 제조사에서 M 대신 B를 사용했을 수도 있다.

사실 Monochrome은 흑백이라기보단 '단색으로 된'이라는 의미에 가깝다.

간혹 산업용 프린터 중엔 CMYK를 서로 다른 프린터에서 프린팅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프린터를 Offset Printer라고 한다)

이럴 때 각각의 프린터들은 '단색으로 된 프린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용 프린터는 거의 흑백을 의미한다.



- F

Fax의 약자이다. 개인적으로 단 한 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기능...



- W

유선 연결(Wire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요즘 나오는 모델들은 무선 연결(Wireless)을 지원하다보니

이 글자가 적힌 프린터는 찾아보기 힘들다.



- D

Duplexing(양면인쇄)의 약자이다.

Automatic duplexing(자동양면인쇄)가 지원되는 기종임을 나타낸다.



- T

Extra Tray에서 'T'를 따온 줄임말이다.

용지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용지보관함이 딸려 있다는 의미이다.

주로 비즈니스용 프린터들이 이런 기능을 장착하고 나온다.



- N

네트워킹이 가능(Networking capability)한지를 나타낸다.

랜선을 꽂아서 사용하던, 무선으로 연결해 사용하던 아무튼간에

네트워킹만 되면 N을 붙일 수 있다는 식으로 통용된다.

그래서 W (wire) 옵션과 혼동을 주기도 하다보니

WN라고 적어서 무선 연결만을 지원한다는걸 의미하기도 한다.



- X

X는 D, T, N 옵션을 한 글자로 줄인 표현이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고,

별도의 용지보관함을 가지고 있으며,

자동양면복사도 된다는걸 의미한다.



- BT

Bluetooth 연결을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근데 점차 블루투스 기능이 사라져감에 따라

포터블 프린터들의 경우엔 NFC (Near-Field Communication)가 탑재되고 있다.



- H

Hard disk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라는 의미이다.

개인용보단 주로 기업용 프린터에 달려 있다.



- i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옵션으로, '메모리 카드' 포트를 지원하는 장치라는 뜻이다.



- S/SK

스템플러 기능이 내장된 장치라는 뜻이다.

영어에서는 stapler 혹은 stacker라고 한다.

쓸데없다..





3. 물론 이게 다는 아니다.

모델명에 대충 이런 글자가 들어있다면

그런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수 있을 것 같다.


2020-06-12

동작 그만, Avast 밑장빼기냐?


정크 파일이라면서 내 다운로드 폴더를 날리려 들다니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2020-06-11

Backup and Sync from Google에서 "폴더를 로드할 수 없음"


0. '이 컴퓨터에 내 드라이브 동기화'에서

'이 폴더만 동기화'를 클릭했을 때 마주할 수 있는 버그이다.





1. 원인

구글 드라이브에서 동기화하던 폴더를 삭제하면

멍청하게도 그 폴더를 찾을 수 없다며 로드도 못 한다고 에러를 띄운다.





2. 해결법

해결법은 간단하다

계정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된다.

이걸로 1시간을 삽질했다.

2020-06-04

MRP2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2) 공부하기

0. MRP2는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2'의 약자다.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 (cMOAT)라고도 부르고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C member 2 (ABCC2)라고도 부른다.

해당 단백질은 ABCC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어있다.





1. 이름의 유래

MRP2는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라는 superfamily의 멤버이다.

ABC 패밀리엔 ABC1, MDR/TAP, MRP, ALD, OABP, GCN20, White 등이 더 있다.

MRP2는 그 중에서도 MRP라는 subfamily에 속해있다.





2. 정체

이 단백질은 다양한 약물 저항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 단백질은 간세포 apical 세관(細管; 얇은 관; canalicular)에서 주로 발현되며

담즙의 수송에 관여한다.

이 단백질의 기질엔 빈블라스틴(vinblastine)같은 약물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이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것은 포유류 세포에서의 약물 저항성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MRP2는 proximal renal tubule endothelial cells의 apical membrane에서 발현되며

합성된 작은 유기물들을 분비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apical membrane 뜻 :

(일반적인 외분비샘의 모습)

Apical membrane은 lumen(내강)을 향해 접해있는 세포막을 뜻한다.

Lumen을 향해 있다고 해서 'luminal membrane'이라고도 부른다.

Lumen은 동맥이나 소화관과 같은 관상 구조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확장된 의미로는 소포체와 같은 세포의 구성 요소의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외분비되는 방향의 접선 세포막을 일컫는 용어인 것 같다.

(사구체의 모습)

Proximal tubule이 뭔지 모르겠어서 찾아보니 Wikipedia에서 사진을 찾을 수 있었다.





3. Dubin-Johnson 증후군

MRP2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환자를 Dubin-Johnson syndrome이라고 한다.

열성으로 유전되며,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의 특징을 갖는다.

황달(Jaundice)은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심슨가족??

황달은 간의 기능이 고장나서 적혈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한다.

건강한 신생아에게 정상적으로 나타나며, 대개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다른 연령대에서는 감염 혹은 간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간의 기능 고장이라고 하면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담즙(bile)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MRP2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켜 bilirubin glucuronides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서이다.





4. Iatrogenic Fanconi syndrome

대사된 물질들 중 음전하를 띤 다수의 물질들은 신장에서 제거된다.

이 organic anion들은 혈액에서 renal proximal tubule의 endothelial cells로 운반되는데

여기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OAT1 transporter이다.

OAT1은 이름부터가 Organic Anion Transporter 1이다. 정직한 이름..

이렇게 생성된 대사물질(waste molecules)들이 lumen으로 배출될 때에

MRP2 transporter가 관여한다.

많은 약물들이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체내에서 제거된다.

어떤 약물들은 MRP2 transporter를 통해서 아주 느리게 배출되는데

이때문에 세포질에 organic anions들이 축적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MRP2 transporter를 저해하는 약물이 투여될 경우

유기음이온(organic anions)들이 renal proximal tubule cell에 축적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 약물들에는 acyclovir, zidovudine, didanosine, zalcitabine, lamivudine,
stavudine, trifluridine, cidofovir, adefovir, tenofovir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OAT1 transporter의 기질들이다.

간혹 이러한 유기음이온 물질들이 미토콘드리아 DNA 합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iatrogenic Fanconi syndrome을 초래하게 된다.
(iatrogenic : 의사의 부주의로 생기는 병; 의원병(醫原病))

Nucleoside phosphonate adefovir는 MRP2 inhibitor로서 신장 질병과 연관되어 있다.

Tenofovir와 cidofovir 또한 nucleoside phosphonates이며

MRP2를 저해해 Fanconi syndrome을 유발한다.





5. Interactive pathway map

MRP2는 간세포 세포막에 있다.






6. Molecular docking과 MD simulation을 이용해 MRP2의 inhibitor 찾기

(출처: PDB)

MRP1을 타겟으로 한 Molecular docking과 MD 시뮬레이션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한다.

Williamson은 ABCC2에 대한 quercetin glucuronides의 잠재적인 결합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실제 실험과 병행하기도 하였다.

2008년에는 MRP5에 대한 연구에서 이 단백질에 대한 모델이 입증되었다.

또한, 이 단백질의 transmembrane helix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cGMP의 docking으로

잠재적인 결합위치를 결정하기도 하였다.

Sirisha는 molecular docking을 이용해

dihydropyridine에서 유래한 MRP1 저해제를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MD 시뮬레이션을 통해

또다른 ABCC 멤버의 잠재적 기질들을 결정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그 중에선 MRP1에 대한 커큐민(curcumin)의 저해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도 있었다.



MD를 활용해서 MRP2의 잠재적인 결합부위를 찾는 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